2024년 연말정산(2024년 귀속) 주요공제 항목과 공제 방법
지난 글에 이어서 2024년도 귀속 연말정산 두 차례 주요 공제 항목과 공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이 5,500만 원 이하일 때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12월 31일까지 400만 원을 입금하면 산출세액에서 66만 원을 공제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단 연금저축의 경우 분출필요한때 인출 할 때는 기존에 혜택을 토해야 하니 이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무원이나 수입이 안정적인 분이 활용 가능할 것 같습니다. 보장성보험 중 저축성 보험의 성격을 띤 종신보험에 가입하신 분들은 연 100만 원 이상 납입 하셨다면 12만 원을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액 세액공제
월세액 세액공제는 총급여가 7000만 원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 이하인 근로자가 내는 월세액의 15를 세액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총급여가 5500만 원 이하라면 17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액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은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혹은 세대원이면서 본인이나 본인의 기본공제 대상자 명의로 주택을 임차한 경우입니다. 국민주택규모85평방미터 혹은 기준시가 4억 원 이하의 주택을 임차해야 하고 임대차계약증서상 주소지와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지가 동일해야 합니다.
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도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비 세액공제
교육비 세액공제는 교육비 납입금액의 15를 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취학 전 아동·초·중·고등학생은 300만 원, 대학생은 1명당 900만 원까지 교육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교육비와 장애인 특수교육비는 한도 없이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학자금대출을 받아 등록금으로 납부하였고 취업 후에 매월 50만 원씩 의무상환했다면 상환금도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매달 50만원씩 12개월 상환했다면 상환액이 600만 원입니다.
이 상환액에서 1590만 원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는 상환기간이 15년이 넘는 장기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경우 이자전액을 소득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취득당시 기준시가 5억 원 이하인 주택이 해당됩니다.
무주택 세대주의 주택분양권 혹은 조합입주권을 취득한 경우도 소득공제가 됩니다. 2021년 1월 1일 차입하는 경우부터 분양권 가액 기준이 4억 원에서 5억 원으로 상향돼 해당 주택의 이자에 대한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세액공제 항목 세금 절감의 다섯 가지 열쇠
1. 자녀세액공제 혜택 부모님에게 주어지는 귀중한 혜택 중 하나로, 자녀 한 명당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적용 방법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님이라면 자녀수에 따라 세금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생세액공제와 입양세액공제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연금계좌세액공제 혜택 미래를 위한 투자인 연금에 투자한 만큼 세금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적용 방법 연금을 들이고 싶다면 연금계좌세액공제를 활용하여 세금 혜택을 누려보세요.
3. 보험료 및 의료비 공제 · 혜택 : 건강에 투자한 비용 중 보험료와 의료비는 세금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적용 방법 어떤 보험에 가입할지, 의료비를 어떠한 방식으로 정리할지 주의깊게 선택하여 세액공제 혜택을 누려보세요. 4. 교육비 및 기부금 공제 혜택 자녀의 교육비와 함께 기부금도 세금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 산정은 소득에 따라 다릅니다. 이것을 우리나라에서는 과세표준이라고 부릅니다.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올해부터 과세표준 구간이 변경되었습니다. 기존 1,200만 원 이하에는 6, 1,200만원 초과 4,600만 원 이하는 15, 4,600만원 초과 8,800만 원 이하는 24의 세율이 적용되었습니다. 이제는 1,400만 원 이하 6, 1,400만원 초과 5,000만 원 이하 15, 5000만 원 초과 8800만 원 24으로 이 세 구간이 변경되었습니다.
소득에 따라 세금의 비율이 결정됩니다. 소득공제를 통해서 소득을 과세표준 아래로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세율구간에 따라 금액의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소득공제소득이 발생할 때마다. 미리 세금을 부과하는데 이것을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이때 소득의 일부가 이유 있는 소득으로 인정되면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댓글